본문 바로가기

부동산 소식

셀프등기 절차 A to Z: 준비물·서류·진행 순서 완벽 해설

반응형

📑 목차

  1. 셀프등기란?
  2. 셀프등기의 장단점
  3. 셀프등기 준비물 & 서류 목록
  4. 셀프등기 절차 (단계별 안내)
  5. 셀프등기 비용 절감 방법
  6. 진행 시 주의사항
  7. 마무리 팁

1. 셀프등기란?

셀프등기란 부동산 매매나 증여 후, 법무사에게 맡기지 않고 본인이 직접 등기소에 가서 등기 절차를 진행하는 것을 말합니다.
법무사 비용(약 30~50만 원)을 아낄 수 있어 최근 1인 부동산 거래나 실거주 매수자들 사이에서 관심이 높습니다.


2. 셀프등기의 장단점

장점

  • 법무사 수수료 절감 (약 30~50만 원)
  • 등기 절차와 서류를 직접 경험해 이해도 상승

단점

  • 서류 준비와 절차가 복잡
  • 기한을 놓치면 과태료 발생
  • 부동산·세금 관련 지식 필요

3. 셀프등기 준비물 & 서류 목록

매매 상황 기준으로 필수 서류를 정리했습니다. (증여, 상속은 일부 서류가 다름)

구매자(매수인) 준비 서류

  • 등기신청서
  • 매매계약서 원본
  • 취득세 납부 영수증
  • 주민등록초본 (주소변동 이력 포함)
  • 인감증명서 (대출 없는 경우)
  • 부동산 등기부등본

판매자(매도인) 제공 서류

  • 부동산 등기권리증
  • 인감증명서
  • 인감도장 날인된 매도용 인감증명서

4. 셀프등기 절차 (단계별 안내)

  1. 취득세 납부
    • 매매 잔금일로부터 60일 이내 납부 (위택스 또는 시군구청 세무과)
  2. 서류 준비
    • 매수인·매도인 서류 모두 확인
  3. 등기신청서 작성
    • 등기소 홈페이지(인터넷등기소) 또는 직접 작성
  4. 관할 등기소 방문
    • 해당 부동산 소재지 관할 등기소 제출
  5. 등기 완료 확인
    • 접수증 수령 후 약 3~7일 내 등기 완료
    • 인터넷등기소에서 등기부등본 발급해 확인

5. 셀프등기 비용 절감 방법

  • 법무사 대행 대신 직접 진행
  • 등기부등본·주민등록등본 등은 인터넷 발급으로 수수료 절감
  • 인감증명서·초본은 무인민원발급기 활용

6. 진행 시 주의사항

  • 취득세 납부 기한(60일) 넘기면 가산세 부과
  • 서류 누락 시 재방문 필요
  • 대출이 있는 경우 은행과 일정 조율 필수
  • 매도인 인감증명서 유효기간(발급 후 3개월) 체크

7. 마무리 팁

셀프등기는 서류만 제대로 준비하면 법무사 없이도 충분히 가능합니다.
특히 매매 과정에서 계약 내용과 부동산 정보를 명확히 파악하고 진행하면 문제없이 완료할 수 있습니다.
다만, 대출·상속·증여 등 복잡한 등기는 법률 전문가 도움을 받는 것이 안전합니다.

반응형